CM-CEI (카네기멜론대학 소프트웨어 공학연구소)의 CMM 모델은 조직의 프로세스가 관리되는 5가지 진화적인 단계 또는 수준을 기술하는 조직모델이다.
원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개발된 역량성숙도 모델의 배경이 되는 사고는, 조직은 조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흡수 동화시키고 수행할 수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CMM 모델은 또한 조직이 현수준에서 다음 수준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특별 단계와 활동을 제공한다.
CMM의 5단계
- 초기 (프로세스는 임시적이고, 혼란스럽고, 또한 실질적으로 정의된 프로세스가 거의 없다.)
- 반복 (기본적인 프로세스가 수립되어 있고, 기본프로세스를 준수하는 수준 )
- 정의 (모든 프로세스는 각각 정의되고, 문서화되고, 표준화되고 통합된다)
- 관리 (프로세스와 그 품질에 대한 세부자료를 수집함으로써 프로세스를 측정)
- 최적화 (양적인 피드백과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시험함으로써 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이 채택되고, 자리를 잡게된다)
소프트웨어 성숙 모델
CMM은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의 기반이 되는 원칙과 방식을 기술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조직이 진화론적인 경로로 자신들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경로는 임시의 혼란스런 프로세스 단계에서, 성숙되고 잘 훈련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단계로 가게된다. 기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로 구성된 본보기가 되는 최상의 방식과 핵심 프로세스 영역에 초점을 둔다. CMM에서 제공한 성숙도 모델은 다음의 의미가 있다 :
- 방법은 반복될 수 있다. 반복할 활동이 없다면 개선의 이유도 없다. 조직이 일관되게 실행하고 성과를 내도록 하는 방침, 절차, 방법들이 있다.
- 최상의 실행방식은 집단전체에 신속하게 전파될 수 있다. 방법들은 프로젝트간에 충분히 전용될 수 있도록 정의되어 조직에 어느정도의 표준을 제공한다.
- 최상의 방식을 수행하는데 있어 변동은 줄어든다. 과업의 양적인 목표가 수립된다 : 그리고 평가가 가능한 기준선을 수립하도록 측정수단이 수립되고 채택되어 유지된다.
- 방법들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역량을 강화시킨다 (최적화).
CMM 모델은 소프트웨어 개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조직의 진화단계를 기술하고, 조직이 실현하고자 하거나 도달하고자하는 경영 수준을 기술하는데 유용하다.
CMM 구조
- 성숙 수준 - 훈련의 성과를 높이는 누적된 모델들로 지속적인 개선을 달성하는데 필요하다. 조직은 그들의 활동에 있어 새로운 방식, 기술, 도구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능력을 개발한다는 점을 언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적응의 문제가 아니라, 혁신노력이 어떻게 기존의 방식들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결정하는가의 문제이다. 합리적인 선택을 지원하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프로젝트, 팀, 조직에 권한을 부여한다.
- 핵심프로세스 영역(KPA, Key Process Areas) - KPA는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목표를 하나로 묶어 실행할 때, 달성할 수 있는 관련된 활동들을 확인한다.
- 목표 - 핵심프로세스 영역의 목표는 핵심 프로세스 영역을 위해 꼭 존재해야 하는 것들을 요약한다. 정의된 것들(states)은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실행되야만 한다. 목표가 성취된 정도는 조직이 얼마만큼 그들의 역량을 구축했는가하는 지표가 된다. 목표는 각각의 핵심프로세스 영역의 범위, 경계 및 의도를 의미한다.
- 일반적인 특징 - 일반적인 특징은 핵심 프로세스 영역을 실행하고 제도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5가지 형태의 일반적인 특정은 다음을 포함한다 : 수행에 대한 열정, 수행 능력, 수행된 활동, 측정과 분석, 실행확인.
- 핵심방법(Key Practices) - 핵심방법은 핵심프로세스 영역의 실행과 제도화에 가장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인프라와 많은 방법들의 요소를 말한다.
프로세스 정의 기준
프로세스 정의 기준은 정해진 프로세스 요소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사용가능하도록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기술하는데에 포함되어야 한다.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다음의 질문을 한다 - "어떠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정보를 문서화할 필요가 있는가?"
프로세스 요소들:
- 목적 - 프로세스는 왜 수행되는가?
- 투입 - 어떤 제품군이 사용되는가?
- 산출물 - 어떤 제품군을 생산하는가?
- 역할 - 누구 (또는 무엇이) 활동을 실행하는가?
- 활동 - 무엇이 행해지는가?
- 엔트리 기준 - 어느 시점 (어떤 환경하에) 프로세스는 시작될 수 있는가?
- 완결 기준 - 어느 시점에 (어떤 환경하에) 프로세스는 완결됐다고 여겨질 수 있는가?
- 절차 - 활동은 어떻게 실행되는가?
- 검토와 감사 수행.
- 관리되고 통제될 작업군 (또는 구성관리의 밑에 둔다).
- 측정 수행.
- 훈련.
- 도구.
참고도서: James R. Persse - Implementing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참고도서: Mary Beth Chrissis - CMMI: Guidelines for Process Integration and Product Improvement
역량 성숙도 관리 시그(SIG).

시그(SIG) (21 개 회원)
|
|
다음에 대한 포럼 토론: 역량 성숙도 관리.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해 질문하거나 경험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개발을 보고하거나 무언가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
CMMI Level 5 Should be Made Simpler
CMMI level 5 should be made easier without too much thrust on usage of mathematical analysis. Ultimately the business needs to be captured....
 4
|
|
|
역량 성숙도 관리에 대한 최고 평점 토론 주제. 여기에서 가장 가치있는 아이디어와 실용적인 제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
|
Capability Maturity Model > CMMI
This article needs to be updated. It is currently focused on CMM-SW that has been replaced in 2002 by a more comprehensive model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in terms of scope and dep...
 17
 1 개의 댓글
|
|
|
Capability Maturity Management에 대한 고급 통찰력 (영어). 여기에서 전문가의 전문적인 조언을 찾을 수 있습니다.
|
Weaknesses of the CMM Model Implementing Process Improvements - CMM does not describe HOW to create an effective software development organization.
- CMM compliance is not a guarant...
|
|
Process and Enterprise Maturity Model Alternative to CMM, Process-Based Transformation Efforts Although most executives are aware that a redesign of business processes can lead to extraordinary improvements in cost,...
|
|
The CMMI Model Process Improvement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CMMI) is the successor of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CMM). A new version ...
|
|
IDEAL Model Alternate Process Improvement Model Originally, the IDEAL model was a life-cycle model for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based upon the Capability Maturity M...
|
|
Origins of CMM Teaching Process Improvement, History In the mid 1980s, the United States Air Force funded a study at the 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SEI) of the Carnegie...
|
|
|
역량 성숙도 관리 에 대한 다양한 정보 출처. 여기에서 자신의 강의 및 워크샵에 사용할 파워 포인트, 비디오, 뉴스 등을 찾을 수 있습니다.
|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CMMI) In-depth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CMMI Models, CMM Models This presentation is about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and includes the following sections:
0. Part 1: ...
|
|
Introduction Into CMM and P-CMM CMM, P-CMM, Software Management, Human Capital Development Introduction into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including the following sections:
1. Outline
2. Why CMM matters
3. H...
|
|
Capability Lifecycles Maturity Management Article by Constance E. Helfat and Margaret A. Peteraf introduces the concept of the capability lifecycle (CLC), which a...
|
|
CMMI Diagram Capability Maturity Management Download and edit this 12manage PowerPoint graphic for limited personal, educational and business use.
Republishing in ...
|
|
CMM in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Process Improvement, Capability Maturity Management Extensive presentation about CMM in software processes, by T. Schouten (2010). The presentation first explains the quali...
|
|
|
역량 성숙도 관리다음과 관련된 다른 유용한 소스로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
뉴스
|
영화
|
프리젠 테이션
|
|
서적
|
플라톤 학파 사람들
|
더
|
|
|
|
역량성숙도모델 관련개념 : PCMM 인재역량측정모델 | 프로젝트관리 성숙모델[OPM3] | BSC[일목균형요약표] | 말콤 볼드리지 품질상 | EFQM [유럽품질경영재단] | 6 Change Approaches [6가지 변화접근모델] | Organizational Learning [조직 학습] | Kaizen[카이젠, 개선기법]
다른 페이지로 이동: Change & Organization [변화와 조직] | 인적 자원 | 지식과 무형자산 | 공급망관리와 품질
관리 방법, 모형 및 이론 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