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과중심의 리더십 (Results-Based Leadership)지식 센터 |
17アイテム • 249.703回の訪問
미시간 대학의 Dave Ulrich와 컨설턴트인 Jack Zenger와 Norm Smallwood는 리더를 캐릭터, 스타일, 가치와 같은 개인적인 자질만으로 측정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매니저들이 사무실에서 보여주는 리더십 속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잘못이다. 분석적 사고, 모호한 작업, 개인적인 성실함과 같은 속성. 오히려 유능한 지도자는 이러한 리더십의 속성과 리더십의 결과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Ulrich, Zenger 및 Smallwood는 그들의 공저인 Results-Based Leadership에서 리더십의 투입물에 관한 사고로부터 리더십의 결과를 강조하는 것으로 유도하고 있다. 전략적인 인력관리 접근방법에서의 도전과제는 조직을 통해 속성과 결과에 초점을 맞춘 리더를 만드는 일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저자들은 매니저들이 그들이 원하는 것을 모델화할 것을 추천한다.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야 하고, 그리고 결과획득에 관한 이야기를 반복하여 말해야 한다. 결과중심의 리더십 공식: "효과적인 리더십 = 속성 x 결과."
매니저들이 결과를 달성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4가지 기준(Ulrich)
매니저는 4가지 영역에서 실질적인 결과를 전달해야 한다.
각각의 영역은 자체 매트릭스를 필요로 한다. 직운을 위해서 인적자원 및 몰입을 개발한다. 고객을 위해서는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제공한다. 투자자을 위해서는 비용을 줄이고 사업을 성장시킨다. 그리고 조직을 위해서는 학습 및 혁신적인 본능을 창출한다. 2003년도 저서 Why the Bottom Line Isn't!에서 Dave Ulrich와 Norm Smallwood는 Baruch Lev가 초기에 주장한 것처럼, 지속가능한 주주의 가치는 점차로 조직의 대차대조표에 나타나지 않는 자산에서 창출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자산은 다음과 같다 : 기업의 평판, 인재를 끌어모으는 능력, 시장의 새로운 기회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능력 참고도서: Dave Ulrich, Zenger, and Smallwood - Results-Based Leadership 참고도서: Dave Ulrich and Norm Smallwood - Why the Bottom Line Isn't!
결과중심의 리더십 관련개념 : 리더십 형태 | Level 5 Leadership [제5수준 리더십] | Value Based Management [가치기반 경영] | Performance Management [성과 관리] | Leadership Continuum [리더십 차원] | Path-Goal Theory [경로-목표 이론] | Contingency Theory[상황적응이론] | Competing Values Framework [경쟁가치모형] | Result Oriented Management [결과지향적 관리] | Seven Surprises [새로운 CEO의 7가지 놀라움] | Seven Habits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 SMART 목표수립 | Situational Leadership [상황대응 리더십] | Charismatic Leadership [카리스마 리더십] 다른 페이지로 이동: 의사소통과 기법들 | 재무와 투자 | 인적 자원 | 리더십 |
|
12manage소개 | 광고 | 12manage링크하기 / 우리를 인용 | 개인정보보호 | 제안 | 이용약관
© 2023 12manage - The Executive Fast Track. V16.1 - 마지막 업데이트: 7-6-2023. 그들의 소유자의 ™ 모든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