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드 모델이란 무엇인가? 기술
국가의 경쟁우위에 대한 Michael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은 글로벌 경쟁환경에서 한 국가의 경쟁적 포지션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또한 지리적으로 주요한 지역에 활용될 수 있다.
전통적인 국가의 우위점.
전통적으로, 경제이론에 의하면 국가나 지역의 비교우위는 다음과 같은 요인을 들 수 있다 :
- 땅
- 위치
- 천연 자원 (무기물, 에너지)
- 노동
- 현지 인구 규모.
이 5개 요인은 거의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국가의 경제적 기회와 관련하여 다소 수동적인(계승되는) 관점이라 할 수 있다.
클러스터
Porter는 지속적인 산업성장은 위에서 언급된 기본적으로 계승되는 요인에 의해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러한 요인이 풍부할 경우 실제로는 경쟁우위를 약화시킬 수도 있다. 그는 특정지역에 발생되는 상호연결된 기업, 공급자, 연관산업, 기관의 그룹 또는 클러스터라는 개념을 소개했다.
이러한 클러스터는 특정분야의 기업과 전문공급자, 서비스 제공자, 그리고 연관 기관이 상호연결되어 지리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클러스터는 충분한 자원과 경쟁력이 축적되어 있는 곳에서 자라나고, 다른 지역 또는 심지어 해당 분야의 세계최고 지역에 대해여 압도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갖추고 주어진 경제적 활동분야에서 핵심적인 포지션을 부여한다. Porter에 의하면 클러스터는 3가지 방식으로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 클러스터는 클러스터에 있는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 클러스터는 해당 분야에 혁신을 불러일으킨다.
- 클러스터는 해당 분야에 새로운 사업을 자극할 수 있다.
클러스터의 몇몇 유명한 사례는 미국 실리콘밸리(컴퓨터), 네덜란드의 로테르담(물류), 인도의 방갈로르(소프트웨어 아웃소싱), 미국 헐리우드(영화), 프랑스의 파리(패션)이다.
Porter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국가의 경쟁우위는 4가지 상호연결된 발전 요인과 이러한 클러스터내에 있는 기업들간의 활동의 결과이다. 이들은 정부의 주도적(pro-active way)추진에 영향받을 수 있다.
경쟁우위를 위한 상호연결된 발전 요인
- 전략, 구조 및 기업의 라이벌. 세계는 역동적인 조건에 의해 지배된다. 직접적인 경쟁은 기업으로 하여금 생산성과 혁신을 높이도록 강요하고 있다.
- 수요 조건. 만일 어느 경제내의 고객들의 수요가 매우 높을 경우에, 혁신제품과 높은 품질을 통해 경쟁력을 꾸준히 향상시키도록 기업에게 주어지는 압력은 훨씬 더 커질 것이다.
- 관련 지원 산업. 상류 또는 하류 산업(upstream or downstream industries)이 공간적으로 근접해 있으면, 정보의 교환이 촉진되고 아이디어와 혁신의 지속적인 교환을 촉진시킨다.
- 요인 조건.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Porter는 제품의 핵심요인 (또는 특화요인, specialized factors)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창조된다고 주장한다. 생산의 특화요인은 숙련노동자, 자본, 인프라스트럭쳐 등이다. 비핵심 요인 또는 일반적 사용요인, 예를 들면 미숙련 노동자, 원자재 등은 어느 회사든 획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특화된 요인은 상당하고 지속적인 투자를 필요로 한다. 그러한 요인들은 복제하기가 어렵다. 이것이 경쟁우위를 창출한다. 왜냐하면 만일 다른 기업이 이러한 요인을 쉽게 복제할 수 없으면 그것은 가치가 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에서 정부의 역할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에서 정부의 역할은 촉매제 또는 도전자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 정부는 기업이 영감을 불러일으키거나, 경쟁에서 높은 수준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독려하거나 때로는 압력을 가해야 한다. 정부는 기업이 성과를 향상시키고, 첨단제품에 대한 초기수요를 자극하고, 특화요인의 창조에 집중하고, 직접적인 협력을 제한하고 불공정거래 규제를 시행함으로써 지역적인 경쟁관계를 자극하도록 기업을 독려해야 한다.
국가의 경쟁우위
Porter는 10개의 선진 교역국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모델을 그의 저서,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에서 소개하였다. 이 책은 기업의 경쟁기반으로 이전의 천연자원과 노동력 같은 전통적인 비교우위 대신, 생산성의 원인에 기초한 경쟁력에 관한 첫번째 이론서이다. 정부의 경제전략수립가들은 이 책을 필독서로 읽어야 한다. 또한 기업의 거시경제 환경에 관심있는 기업 전략가들의 필독서로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참고도서: Michael Porter -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다이아몬드 모형 시그(SIG).

시그(SIG) (19 개 회원)
|
|
다이아몬드 모형에 대한 최고 평점 토론 주제. 여기에서 가장 가치있는 아이디어와 실용적인 제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
|
Success Factors of Economic Clusters
Economic clusters are geographic concentrations of interconnected companies, specialized suppliers, service providers, and associated institutions in a particular field that are present in a nation or...
 40
 51 개의 댓글
|
🥈
|
Chance in Diamond Model
Porter defines Chance events as the ones that have little to do with circumstances in a nation and are largely outside of the control of firms. Chance events could be significant shifts in exchange ra...
 22
 1 개의 댓글
|
🥉
|
Clusters and Knowledge Economy
Put simply, clusters are geographically close groups of interrelated specialized organizations. Two main historic reasons for industrial clusters were: easy knowledge exchange and the availability of...
 11
 7 개의 댓글
|
|
|
Diamond Model and Clusters에 대한 고급 통찰력 (영어). 여기에서 전문가의 전문적인 조언을 찾을 수 있습니다.
|
|
다이아몬드 모형 에 대한 다양한 정보 출처. 여기에서 자신의 강의 및 워크샵에 사용할 파워 포인트, 비디오, 뉴스 등을 찾을 수 있습니다.
|
Clusters Scoreboard Clusters competitiveness Paper by Andrea Ganzaroli, Gianluca Fiscato and Luciano Pilotti, in which they suggest a scoreboard to assess the compet...
|
|
Typologies and Strategies of Co-opetition Co-opetition, Strategic Partnerships, Strategic Collaboration, Strategic Clusters Presentation about Co-opetition thereby especially focusing on the typologies and strategies of co-opetition. It include...
|
|
Michael Porter on Competiveness of a Nation Global Competition, Comparative Advantage, Competition Between Nations and Regions Harvard Professor and Co-leader of the US Competitiveness Project Michael Porter argues competitiveness of a region/nati...
|
|
Introduction to Collective Impact Initial Understanding of Collective Impact Collective Impact is about diverse companies and across sectors are coming together to solve a complex social problem. T...
|
|
Diamond Model Diagram Industry Management Download and edit the 12manage PowerPoint model for limited personal, educational and business use.
Republishing in int...
|
|
|
다이아몬드 모형다음과 관련된 다른 유용한 소스로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
뉴스
|
영화
|
프리젠 테이션
|
|
서적
|
플라톤 학파 사람들
|
더
|
|
|
|
관련 개념: Porter Value Chain[가치 사슬] | Porter Competitive Advantage [경쟁우위] | Porter 5 Forces | The Value Net [가치상관도, 가치망], Co-opetition [코피티션, 협력적 경쟁] | Bottom of the Pyramid [BOP 시장] | PEST Analysis [정치경제사회기술 분석] | SWOT 분석 | Simulation [시뮬레이션] | Benchmarking 벤치마킹 | Scenario Planning [시나리오 플래닝] | Bricks and Clicks [온라인 오프라인 공조전략] | 4 Trajectories of Industry Change [산업변화의 괘적모델]
다른 페이지로 이동: 재무와 투자 | 지식과 무형자산 | 전략 및 혁신 | 공급망관리와 품질
관리 방법, 모형 및 이론 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