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 Schools of Thought [10대 전략경영사상]
(Mintzberg)

지식 센터




요약, 포럼, 모범 사례, 전문가 팁 및 정보 소스.

68アイテム • 1.185.785回の訪問


요약

10대 전략경영사상이란 무엇인가? 기술

Mintzberg 10대 전략경영사상은 전략경영의 분야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델이다.

  1. 디자인학파(The Design School). 이 학파는 전략수립을 개념화 과정으로 본다.
    • 접근: 명확하고 독특한 전략은 계획적인 프로세스로 수립된다. 이 과정에서 조직의 내부상황은 외부환경과 결합된다.
    • 기초: 은유로서 건축
    • 간단히 말하면 : 적응! "적응하라"
    • 기여 : 질서. 모호성 감소. 간단함.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에서 유용함. 강력하고 비전있는 리더십 지원.
    • 한계: 단순함이 현실을 왜곡할 수 있다. 전략은 많은 변수를 갖고 있으면 본질적으로 복잡하다. 학습 간과. 유연하지 않음. 급변하는 환경에 취약. 저항의 리스크 존재(NIH신드롬, "여기서 고안되지 않음").
    • 예 / 비교 : SWOT 분석  |  Ashridge 미션 모델
  2. 기획학파(The Planning School). 이 학파는 전략수립을 형식적인 과정으로 본다.
  3. 포지셔닝 학파(The Positioning School). 이 학파는 전략수립을 분석적인 과정으로 본다.
    • 접근: 이 학파는 사업을 산업의 맥락내에서 조직이 어떻게 산업내에서 전략적인 포지셔닝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본다.
    • 기초: 산업조직 (경제적) 및 군사 전략
    • 간단히 말하면 : 분석하라! "사실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 기여 : 이 학파는 전략경영을 진보가 가능한 하나의 과학으로 만들었다. 전략을 보는 기존의 방식에 체계적인 방식으로 내용을 제공한다. (경제적) 현실에 초점. 자료가 분석될 때 전략개발의 초기 단계에 특히 유용하다.
    • 한계: 기획 학파 참조. 권력, 정치, 문화, 사회적 요소를 무시한다. 대기업에 편중되어 있다. 숫자 지향.
    • 예 / 비교 : Competitive Advantage [경쟁우위]  |  5 Forces  |  Value Chain[가치 사슬]  |  BCG 매트릭스  |  게임 이론   |  손자병법 (손자) 
  4. 기업가적 학파(The Entrepreneurial School). 이 학파는 전략수립을 비전수립의 과정으로 본다.
    • 접근: 비전수립의 과정은 조직의 리더 또는 카리스마가 있는 창립자의 마음속에서 일어난다. 이 학파는 직감, 판단, 지혜, 경험 그리고 통찰력같은 인간고유의 정신상태와 프로세스를 강조한다.
    • 기초: 경제.
    • 간단히 말하면 : 미래를 계획하라! "CEO 전략의 건축가이다."
    • 기여 : 건전한 비전과 비전이 있는 CEO는 조직이 진창을 헤쳐나가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조직형성의 초기단계나 어려움을 겪는 시기. 사업분야에 신중. 세부사항에 유연하고 창의적.
    • 한계: 사전에 정의된 코스로 나아감으로써 예상치 못한 위험이나 전개상황을 보지 못할 수 있다. 어떻게 그 많은 필요한 자질을 갖추고 있는 올바른 리더를 찾을 수 있는가? 기업가적, 비전있는 리더는 지나친 경향이 있다. CEO가 된다는 것은 이러한 관점에서 매우 도전적인 직업이다.
    • 예 / 비교 : Entrepreneurial Government [기업식 정부]  |  새로운 CEO'S를 위한 Seven Surprises [새로운 CEO의 7가지 놀라움]  |  리더십 형태
  5. 인지학파(The Cognitive School). 이 학파는 전략수립을 정신 과정으로 본다.
    • 접근: 인지학파는 어떻게 사람이 패턴과 프로세스 정보를 인식하는지를 분석한다. 인지한파는 전략가의 마음에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는지에 집중한다.
    • 기초: 심리학.
    • 간단히 말하면 : 구조화하라! "눈으로 직접 확인해야 믿을 수 있다!"
    • 기여 : 전략을 전략가의 마음의 인지과정으로 본다. 전략은 현실에 대한 개념, 지도, 틀로 나타난다. 전략 과정의 창조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개인적인 전략가의 수준에서 강하다. 우리의 마음이 왜 불안전한지를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 한계: 개념적인 단계를 넘어서면 그다지 실용적이지 않다. 훌륭한 아이디어나 전략을 고안하는데 그다지 실용적이지 않다. 집단적인 전략수립과정의 지침으로 현재 그다지 실용적이지 않다.
    • 예 / 비교 : Whole Brain Model [전뇌모형]  |  Johari Window [조하리 창]  |  Groupthink [집단 사고]  |  인지적 편견  마이어브릭스 유형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
  6. 학습학파(The Learning School). 이 학파는 전략수립을 창의적인 과정으로 본다.
    • 접근: 경영진은 무엇이 효과적이고 무엇이 그렇지 않은지를 면밀히 관찰하여야 한다. 이러한 교훈을 전체 실행계획에 반영한다. 세상은 너무 복잡하여 전략이 갑자기 한순간에 개발되지 않는다. 명확한 계획 또는 비전. 그러므로 전략은 하나의 조직이 적응하거나 학습하는 것처럼 한 단계씩 나타난다.
    • 기초: 교육, 학습이론.
    • 간단히 말하면 : 학습하라! "당신 처음에는 성공하지 않는 경우에, 재시도하기 위하여."
    • 기여 : 전략수립에 있어 예측불가능성과 복잡성을 다루는데 해결책을 제공한다. 리더 뿐만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학습할 수 있다. 만능의 리더가 필요없다. 창의적인 관점과 결합될 수 있다. 지속적인 변화를 가진 복잡한 조건에서 강하다. 프로페셔널한 조직에서 강하다.
    • 한계: 이 학파는 전략이 부재할 수 있으며 또는 약간의 전술적 행동을 할 수 있다. 또는 전략적으로 표류될 수 있다.  위기시에 유용하지 않다. 안정적인 조건에서 매우 유용하지 않다. 많은 의미있는 작은 단계를 취하는 것이 전체의 건전한 전략에 반드시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작은 단계를 취함으로써 벌어진 틈새를 건너서는 안된다. 학습과 관련하여 비용이 든다.
    • 예 / 비교 : Organizational Learning [조직 학습]  |  Forget Borrow Learn 모형 기구Knowledge Management [지식경영]  |  SECI 모형
  7. 권력학파(The Power School). 이 학파는 전략수립을 협상의 과정으로 본다.
  8. 문화학파(The Cultural School). 이 학파는 전략수립을 집단적인 과정으로 본다.
    • 접근: 기업내 다양한 그룹과 부서를 개입시키려 한다. 전략수립은 근본적으로 집단적이고 협력적인 과정이라고 본다. 개발된 전략은 기업내 조직문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 기초: 인류학.
    • 간단히 말하면 : 하나로 합쳐라! "사과는 결코 나무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는다"
    • 기여 : 사회적 과정, 신념 및 가치는 의사결정과 전략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전략적인 변화에 대한 저항을 설명하고 기업내 또는 지역내 지배적인 가치를 다루는데 도움이 되며 인수합병을 다루는데도 도움이 된다.
    • 한계: 모호함이 변화에 대한 저항을 키울 수 있고 세력균형을 정당화하는데 오용될 수 있다. 어떻게 해야되는지에 대한 단서를 많이 제공하지 않는다.
    • 예 / 비교 : Appreciative Inquiry [감상적 조사법]  |  Cultural Dimensions [문화차원 모델]  |  Cultural Intelligence [문화 지능]  |  Ashridge 미션 모델
  9. 환경학파(The Environmental School). 이 학파는 전략수립을 반응적인 과정으로 본다.
    • 접근: 전략은 외부환경에 의해 부여된 도전에 대한 반응이다. 다른 학파가 환경을 하나의 요인으로 보는 반면, 환경학파는 환경을
      배우들로 본다.
    • 기초: 생물학.
    • 간단히 말하면 : 맞서라! "경우에 따라 다르다."
    • 기여 : 전략수립에 있어 환경을 그 중심역할로 한다.
    • 한계: 환경이라는 영역은 종종 모호하고 누적적일 수 있다. 이는 전략수립에 유용성이 떨어진다. 조직을 위한 실질적인 전략적 선택을 부정한다. 이것은 비현실적이다.
    • 예 / 비교 : Contingency Theory[상황적응이론]  |  Situational Leadership [상황대응 리더십]
  10. 구성학파(The Configuration School). 이 학파는 전략수립을 변환의 과정으로 본다.
    • 접근: 전략수립은 조직을 하나의 의사결정구조에서 다른 의사결정구조로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 기초: 맥락.
    • 간단히 말하면 : 통합하고 변화시켜라! "모든 것에는 제 철이 있다."
    • 기여 : 전략과 조직적 모양(조직적 발전)는 밀접하게 통합되고 조정되어야 한다. 조직은 몇몇 안정된 특성의 조합으로 묘사될 수 있다. 그러한 특성은 일정기간 특정한 형태의 맥락으로 적응하기 위한 것이다. 특정한 전략을 가져오는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게 한다. 안정된 기간은 변화과정에 의해 종종 중단된다. 전략경영의 핵심은 대부분 시간이다 : 즉 안정성을 유지하거나 적어도 전략적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이다. 그러나 주기적으로 변화에 대한 니즈가 있다. 그리고 조직을 파괴하지 않고 파괴적인 과정(disruptive process)을 다룰 수 있는 시간이 핵심이다. 전략수립 방식은 기업의 자체 시간과 맥락에 맞춰져야한다. 반면 위에서 언급한 형태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형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전략수립 자체는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 한계: 실제로 단지 제한된 수의 타당한 구성만이 아니 중간형태들이 많이 있다. 또한 소유자의 눈에 보기에 패턴이 있다. 만일 구성을 사용하여 현실을 묘사한다면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현실을 왜곡할 것이다.
    • 예 / 비교 : Organizational Configurations [조직의 유형]  |  Chaos Theory[혼돈 이론]  |  Catastrophe Theory [파국이론]  |  Disruptive Innovation [파괴적 혁신]

10대 전략경영사상의 활용. 응용

  • 모든 전략경영분야에 대한 매우 유용한 소개 및 개관.

10대 전략경영사상의 강점. 이점

  • 전략수립에 대한 서로 다른 학파의 유래 및 특성에 관한 유용한 도해.
  • 전략 접근에 있어 차이점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활용.

10대 전략경영사상의 한계. 단점

  • 전략수립의 분야에 대한 다른 분류도 가능하다.
  • 추가적인 중요한 학파가 있을 수 있다 : 전략의 역동성  |  자원기반관점.
  • 10개 학파의 복잡성만으로 처음부터 열성적인 전략가들을 보기 드물게 할 수도 있다.

참고도서: Henry Mintzberg, Bruce Ahlstrand, Joseph Lampel - Strategy Safari: a guided tour through the wilds of strategic management


시그(SIG)

10대 전략경영사상 시그(SIG).



시그(SIG) (26 개 회원)

포럼

다음에 대한 포럼 토론: 10대 전략경영사상.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해 질문하거나 경험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개발을 보고하거나 무언가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에 대한 10대 전략경영사상

 

Whittington's 'classical ' and 'evolutionary' Schools of Thought
Could someone please explain Whittington's 'classical' and 'evolutionary' schools of thought? Thanks......
20
 
1 개의 댓글
Why are There So Many Schools in Strategic Management?
Why are there 10 different school of thoughts in strategic management?
Don't you think it is confusing to have so many different views of strategic management?...
18
 
6 개의 댓글
12th School of Thought on Strategic Management: The Implementation School
Another school of thought in strategy is the application of these schools of thought... Knowledge becomes useless and wasted until it is applied properly....
5
 
1 개의 댓글
What are the Best Strategy Schools of Thought for Government Organizations?
Public sector organisations are mostly not in business for profit and their 'customers' (unemployed, law breakers etc) are usually dependent on what is on offer and handed down to them. For example, t...
3
 
1 개의 댓글
Is the Learning School of Thought Common to Countries and Businesses with Limited Resources?
The learning school appears to be common in countries and businesses that do not have enough resources and manpower to do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se countries and companies people can onl...
3
 
1 개의 댓글

모범 사례

10대 전략경영사상에 대한 최고 평점 토론 주제. 여기에서 가장 가치있는 아이디어와 실용적인 제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11th School of Thought on Strategic Management: The Unlearning School
From my point of view, one important school of thought has been missed.
There should be an "Unlearning School', where people should be taught irrelevant things of last few century. Human beings h...
18
 
5 개의 댓글

Examples of Applying Each of the Ten Schools of Thought
Can anyone give me an idea of which business today apply the above strategies for each school?...
16
 
2 개의 댓글

13nd School of Thought on Strategic Management: The Case School
Every company is looking and seeking for opportunities. Whoever is entitled to do this in an organization: before you start to consider and implement any strategy, the case and what it means to the or...
12
 
15 개의 댓글

Avoid Pigeonholed Approaches to Strategy
Strategy is defined differently by different proponents, based on what one considers, is the key focus of his theory / paradigm / postulate. Examples include
Blue ocean strategy that espouses a...
8
 
10 개의 댓글

전문가 팁

Ten Schools of Thought에 대한 고급 통찰력 (영어). 여기에서 전문가의 전문적인 조언을 찾을 수 있습니다.


Why the Use of the Planning School is Currently Restricted

Group Strategic Planning
There have lately been three periods of consumer markets' behavior: 1. Market's seg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e...

The Nature of the Strategy Process

Mintzberg vs. Ansoff
Canadian Professor Henry Mintzberg gained his popularity thanks also to a scientific quarrel with another guru of strate...

Strategic Planning versus Strategic Thinking (Mintzberg)

Strategic Planning, Strategic Thinking, Emergent Strategy, Deliberate Strategy
According to Mintzberg (1994) many people wrongly consider Strategic Planning (SP) to be a synonym for Strategic Thinkin...

Planning School

Historical Context and Developments
The Planning School saw the strategy process as defining objectives, analyzing and formulating alternatives, and choosin...

Meta-cognition (Meta-thinking) in Strategic Thinking

Schools of Thought, Strategic Thinking, Scenario Thinking, Strategic Assumptions, Strategic Reasoning
Most businesses are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type of thinking that tries to make complex problems or interconnected ...

Entrepreneurial Strategies in Emerging Markets

Learning School of Strategy, Emergent Strategy, Entrepreneurship, Strategic Innovation
Chanvatipsakul and Wongsurawat (2013) examined the reasons why SMEs are successful in entering emerging markets while bi...
정보 출처

10대 전략경영사상 에 대한 다양한 정보 출처. 여기에서 자신의 강의 및 워크샵에 사용할 파워 포인트, 비디오, 뉴스 등을 찾을 수 있습니다.


7 Criteria of Strategic Thinking

Strategic Thinking, Strategic Reasoning, Strategic Analysis, Strategic Decision Making, Strategic Planning
Strategic Thinking is the basis for making Strategic Decisions, which then leads to Strategic Planning (SWOT/Scenario Pl...

Introduction to Strategic Planning and The ABCDE Model

Strategic Planning, ABCDE Model, SWOT Analysis, Corporate Mission, Strategic Vision
Good overview presentation that also describes a 5-step strategic planning model (ABCDE). Following the steps in this st...

Henry Mintzber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y and Operations

Understanding Mintzbergs Idea That the Difference Between Operations and Strategy is Artificial
In this short video Professor Henry Mintzberg argues that according to him we should not make an artificial distinction ...

What is Strategy According to Michael Porter?

Understanding what Strategy is and is Not
In this video Professor Michael Porter explains that a common mistake organizations make is to misinterpret the word "St...

추가 연구 링크

10대 전략경영사상다음과 관련된 다른 유용한 소스로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


뉴스

뉴스

영화

영화

프리젠 테이션

프리젠 테이션

 
서적

서적

플라톤 학파 사람들

플라톤 학파 사람들

더


10대 전략경영사상 관련개념 :  Twelve Principles of the Network Economy [네트워크 경제의 12원칙]  |  Fourteen Points of Management [품질경영을 위한 14가지 지침] (데밍)  |  14 Principles of Management [관리의 14원칙] (Fayol)


다른 페이지로 이동: Change & Organization [변화와 조직]  |  의사결정과 가치평가  |  지식과 무형자산  |  리더십  |  전략 및 혁신


관리 방법, 모형 및 이론

시그(SIG)

10대 전략경영사상 에 대해 많이 알고 계십니까? 우리의 SIG 리더가 되십시오 전문가로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다.



12manage소개 | 광고 | 12manage링크하기 / 우리를 인용 | 개인정보보호 | 제안 | 이용약관
© 2023 12manage - The Executive Fast Track. V16.1 - 마지막 업데이트: 24-3-2023. 그들의 소유자의 ™ 모든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