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슈탈트 지각이론 (Gestalt Theory)

지식 센터




요약, 포럼, 모범 사례, 전문가 팁 및 정보 소스.

29アイテム • 392.596回の訪問


요약

게슈탈트 지각이론(GT)은 폭넓은 심리학적 현상, 프로세스 그리고 응용분야의 틀을 제공하는 광의의 학제간 일반이론이다.


Wertheimer에 따르면 성공적인 문제해결 행동의 본질은 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 그 분야의 특정 지역이 중요해지고 집중된다 ; 그러나 그 지역은 고립되지 않는다. 해당 항목의 기능적 의미, 그룹핑 등에 변화를 수반하며 상황에 대한 새롭고 깊이있는 구조적 관점이 전개된다. 중요한 지역의 상황의 구조에 요구되는 것에 따라서, 사람은 합리적인 예측을 하게된다. 이러한 예측은 구조의 다른 부분처럼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확증(verification)을 요구한다. 2가지 방향 즉, 전체의 일관된 그림을 얻는 것과, 부분들에 대한 전체 요청의 구조를 보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즉 게슈탈트 지각이론에 따르면, "전체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부분의 합이 아니고, 각 부분에 전체와 관련하여 정의될 수 있는 특정한 기능 또는 속성을 부여하는 전체가 있다"(Wolfgang Köhler).


GT의 초점은 "그룹핑" 사고이다. 자극의 특성이 사람으로 하여금 시각적인 부분 또는 문제를 특정한 방식으로 구조화하고 해석하게 한다. (Max Wertheimer 1922년)


그룹핑의 주요요인.

  1. 근접성 (Proximity). 구성요소는 구성요소 사이가 가까울수록 함께 묶이려는 경향이 있다.
  2. 유사성 (Similarity). 몇몇 면에서 유사한 항목들은 함께 묶이려는 경향이 있다.
  3. 폐쇄성 (Closure). 구성요소들이 일부 개체를 완성하려는 경향이 있으면 항목들은 함께 묶여진다.
  4. 단순성 (Simplicity). 항목들은 대칭성, 규칙성, 그리고 평활성(smoothness)에 따라서 단순한 형태로 조직될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은 조직의 법칙이라 불리고 인식과 문제해결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인간은 그들의 환경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개방시스템으로 보여진다. 1924년에 Wertheimer에 따르면 (Über Gestalttheorie), 전체(whole)와 전체의 행위가 있다. 전체는 개별적 요소들의 행동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부분-프로세스는 전체의 내재적 성질에 의하여 결정된다. GT는 그러한 전체의 본질을 결정하려고 한다.


GT는 특히 심리학적 사건의 구조와 질서를 이해하는데 알맞는다. GT의 유래는 Johann Wolfgang Von Goethe, Ernst Mach, Christian von Ehrenfels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심리적 사건, 행동주의, 연상심리학(associationism), 심리분석에 요소주의적 접근에 반대한 Max Wertheimer, Wolfgang Köhler, Kurt Koffka, 및 Kurt Lewin의 연구작업에서 찾을 수 있다. 국가사회주의 권력의 도래는 독일어권에서 게슈탈트이론의 결실있는 과학적 발전에 상당한 방해가 되었다. Koffka, Wertheimer, Köhler 및 Lewin는 이주하거나, 강제로 미국으로 추방되었다.


게슈탈트이론은 단지 게슈탈트 또는 전체의 개념에 한정되거나, (여러 출판물에 나타나는 것처럼)인식의 구성에 대한 게슈탈트 원칙에 한정되지 않고, 더 넓게 포괄적으로 보아야 한다.

  • 놀라운 것의 제1위: 인간의 경험세계를 단지 즉각적으로 주어진 현실로 인식하고 판단하며, 단순히 토론에 머물지 않는 것이 GT의 기본적인 입장이며, 심리학과 심리치료에 대한 결실은 결코 없어지지 않는 것이다.

  • 역동적인 부분의 의미에서 개인과 상황의 상호작용이 경험과 행동을 결정한다. 그리고 단지 동인(drives, 심리분석,행동학) 또는 외부자극(Skinner의 행동주의), 또는 정적인 성격특성(고전적인 개성이론)이 경험과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심리학적 내용들 사이의 연결이 완전한 반복과 강화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실체적이고 구체적인 관계에 기초하여 영구적으로 창조되고 있다.

  • 사고와 문제해결은 적절하며 상당한 조직과 재구성, 그리고 주어진 것(통찰력,을 바람직한 해결방향으로 중심을 잡는 것으로 특성지워진다.

  • 기억에서 연관된 연결에 기초한 구조는 최적으로 조직하려는 경향에 따라서 정교해지고, 차별화된다.

  • 개인이 통합할 수 없는 인식은 불협화음의 경험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불현화을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인식의 프로세스로 이끌어간다.

  • 그룹과 같은 초개인적인 전체에서는 강점과 욕구의 상호작용으로 특별한 관계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게슈탈트 이론의 인식론적 지향은 일종의 비판적 현실주의의 경향이 있다. 방법론적으로 게슈탈트 이론은 경험적이고 현상학적인 절차(경험적-현상학적 방법)의 의미있는 통합을 달성하려고 한다. 중요한 현상은 경험적인 정밀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조사된다. GT는 정적인 과학적 지위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패러다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시스템의 자기조직화이론같은 발전을 통하여, 게슈탈트 이론은 오늘날 많은 심리적 관심사들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시그(SIG)

게슈탈트 지각이론 시그(SIG).



시그(SIG) (7 개 회원)

포럼

다음에 대한 포럼 토론: 게슈탈트 지각이론.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해 질문하거나 경험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개발을 보고하거나 무언가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에 대한 게슈탈트 지각이론

 

Ignorance of the Big Picture
Ignorance of the big picture is the mother of Murphy.
Seven blind men, so an old Asian story goes, each held a part of an elephant. One boasted that he held a snake. Another said this was a wall. A...
11
 
8 개의 댓글

모범 사례

게슈탈트 지각이론에 대한 최고 평점 토론 주제. 여기에서 가장 가치있는 아이디어와 실용적인 제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 팁

Gestalt Theory에 대한 고급 통찰력 (영어). 여기에서 전문가의 전문적인 조언을 찾을 수 있습니다.


How to Create an Adaptive Organization that can Deal with a Complex Environment?

Organizational Development, Strategy
Definition and qualifications of complex adaptive systems capable of successfully coping with chaos: 1. A system must b...

Structure your Organization at the Edge of Chaos

Organizational Development
Although chaos theory was discovered decades ago, it only has emerged in recent years as a model for explaining the chao...

Principles of Complex Environments

Organizational Development, Strategy
Characteristics of an environment conducive for complex adaptive systems: 1. Complex adaptive systems are at risk when ...
정보 출처

게슈탈트 지각이론 에 대한 다양한 정보 출처. 여기에서 자신의 강의 및 워크샵에 사용할 파워 포인트, 비디오, 뉴스 등을 찾을 수 있습니다.


Systems, Systems Thinking and Soft System Methodology (SSM)

Systems Thinking, Soft System Methodology, SSM, Checkland
Presentation that provides well structured information about what are Systems, System Thinking and Soft Systems Methodol...

Systems Thinking for Leaders

Systems Thinking, Leadership, Gestalt Theory, Complexity
Presentation about systems thinking leadership, including the following sections: 1. What is systems thinking? 2. What...

Introduction to Service Management

Initial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Between Service Management and Systems Management
In this video five several IBM experts give their views on Service Management and the difference with Systems Management...

Gestalt-Switch

IBRD, IMF, globalization
This essay by Robert C. Hockett suggests means by which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IFIs), the IBRD and th...

추가 연구 링크

게슈탈트 지각이론다음과 관련된 다른 유용한 소스로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


뉴스

뉴스

영화

영화

프리젠 테이션

프리젠 테이션

 
서적

서적

플라톤 학파 사람들

플라톤 학파 사람들

더


관련 개념: 시스템 다이내믹스  |  Organizational Learning [조직 학습]  |  Organic Organization [유기 조직]  |  Levels of Culture [조직의 문화수준]  |  브레인스토밍  |  Six Thinking Hats [6색깔 모자 기법]  |  Soft Systems Methodology [소프트시스템 방법론]


다른 페이지로 이동: Change & Organization [변화와 조직]  |  의사소통과 기법들  |  의사결정과 가치평가


관리 방법, 모형 및 이론

시그(SIG)

게슈탈트 지각이론 에 대해 많이 알고 계십니까? 우리의 SIG 리더가 되십시오 전문가로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다.



12manage소개 | 광고 | 12manage링크하기 / 우리를 인용 | 개인정보보호 | 제안 | 이용약관
© 2023 12manage - The Executive Fast Track. V16.1 - 마지막 업데이트: 27-3-2023. 그들의 소유자의 ™ 모든 이름.